아흐마드 파나카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흐마드 파나카티는 중앙아시아 출신으로, 쿠빌라이 칸의 정궁 황후 차브이의 신임을 얻어 재무 관료로 발탁되었다. 그는 재정 장관으로서 원나라의 재정을 성공적으로 관리하며 권력을 강화했으나, 가혹한 세금 정책과 파벌 형성으로 인해 중국인들의 반감을 샀다. 결국 정적들에게 암살당했으며, 사후에는 부패 혐의로 비난받아 간신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일부 기록에서는 쿠빌라이를 보필한 명재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재상 - 육개
육개는 손권과 손호 치세에 여러 요직을 역임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쳤으며, 수춘 전투에 참여하고 좌승상에 이르렀으며, 간언을 서슴지 않다가 72세에 사망한 강직하고 청렴한 관리이다. - 중국의 재상 - 풍경 (전한)
전한 문제 시기에 풍경은 서위나라 장군 출신으로 가의를 참소하는 데 관여했으며, 대홍려와 어사대부를 역임하며 문제의 육형 완화 시기에 감형안을 제시했다. - 원나라의 무슬림 - 포수경
포수경은 남송 시대에 무역상으로 성장하여 원나라에 투항, 남송 멸망에 기여하고 원나라에서 중용되어 취안저우를 무역항으로 발전시킨 인물이다. - 원나라의 무슬림 - 아난다 (몽골)
원나라 황족이자 안서왕이었던 아난다는 섬서성, 감숙성, 사천성 일대를 지배하며 이슬람교를 신봉하여 군인들을 무슬림으로 개종시켰으나, 원 성종 사후 대칸위를 놓고 카이산과 쟁탈전을 벌이다 처형당했다. - 13세기 이란 사람 - 사디
사디는 13세기에 활동한 이란의 시인으로,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경험을 쌓은 후 《과수원》과 《장미원》을 저술하여 페르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세기 이란 사람 - 파리두딘 아타르
페르시아의 수피 시인이자 약사였던 파리두딘 아타르는 '아타르'라는 필명으로 《새들의 회의》, 《신비주의 성자 열전》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그의 사상은 루미를 비롯한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아흐마드 파나카티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흐마드 파나카티 |
다른 이름 | 아흐마드 파나카티 |
출생 | 파나카트 |
사망 | 1282년 |
직업 | 원나라의 재정가 |
경력 | |
근무 기간 | 1262년 ~ 1282년 |
직위 | 원나라의 재무 장관 |
군주 | 쿠빌라이 칸 |
2. 생애
아흐마드 파나카티는 중앙아시아 시르다리야 상류에 위치한 파나카트(또는 바나카트) 출신으로, 몽골 제국에 정복되기 전까지 카라 키타이의 지배를 받았다.[1][2][3] 이란계 무슬림 가정에서 태어났다.
귀족이나 성직자의 탈세, 면세를 용서하지 않고 세금을 부과했던 아흐마드는 몽골인 귀족에게서 인기가 없었고, 사후에 간신으로 이름을 남겼다. 원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 《원사》의 열전은 "간신전"에 실렸으며, 그 내용은 매우 신랄하여 악인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칸국에서 저술된 《집사》에서는 쿠빌라이 칸을 지지한 명재상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2. 1. 초기 생애와 출세
쿠빌라이의 정궁황후인 차브이의 궁정에서 시중을 들다 신임을 얻었고, 쿠빌라이가 즉위한 후 1262년에 영중서좌우부(領中書左右部)에 발탁되었고 제도도전운사(諸路都轉運使)를 겸하게 하여 재무 행정을 맡도록 했다.[1] 1263년에는 쿠빌라이가 대칸에 올랐던 개평부(開平府, 훗날의 상도)의 행정 장관을 겸하게 되었고,[1] 1264년에는 재상 격인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로 승진했다.[1] 1266년에는 재무행정 기관이라 할 수 있는 국용사사(國用使司)가 신설되면서 그 장관을 겸하게 되었다.[1]아흐마드는 쿠빌라이 칸의 부인인 자무이 카툰을 통해 고용되었는데, 그녀는 결혼 전에 그를 알고 있었다. 그는 원래 그녀의 궁정에 소속되었지만 1264년에는 이미 재정 분야에서 높은 직위에 있었다.[4]
마르코 폴로는 그의 이름을 "바이로 악마트(Achmac)"라고 기록했다.[7] 그는 아흐마드가 25명의 아들을 두었고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고 언급했다.[8]
2. 2. 재정 장관으로서의 활동
쿠빌라이의 정궁황후인 차브이(察必)의 궁정에서 시중을 들다 신임을 받아, 쿠빌라이가 즉위한 후 1262년에 영중서좌우부(領中書左右部)에 발탁되었고 제도도전운사(諸路都轉運使)를 겸하여 재무 행정을 맡게 되었다.[1] 아흐마드는 재무장관으로서 북중국의 재무행정에 뛰어난 솜씨를 발휘했고 새 도읍지인 대도(大都: 오늘날 베이징)를 중심으로 쿠빌라이가 세운 신정부에 막대한 세수입을 가져왔다.[1] 1263년에는 쿠빌라이가 대칸에 올랐던 개평부(開平府: 훗날의 상도)의 행정 장관을 겸하게 되었고, 1264년에는 재상 격인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로 승진했다.[1]1266년 재무행정 기관인 국용사사(國用使司)가 신설되면서 그 장관을 겸하게 되었다.[1]
1270년 원의 새로운 상서성(尙書省)을 독점했다.[1] 1276년 남송 정벌 이후 남중국의 재무까지 독점하고 강남 지역의 재무행정에도 관여했으며,[1] 원나라 국가 수입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소금 등의 전매제와 남중국의 상업 세제 등을 정비했다.[1]
아흐마드가 재무행정을 통괄하던 20여 년간 아흐마드의 아들이나 일족을 비롯하여 중앙아시아 출신의 이슬람교도 등 여러 사람이 아흐마드와의 연고를 통해 지방장관이나 지방징세관에 임명되었기 때문에 아흐마드의 권세는 매우 높았다.[1]
그는 소금세의 권한을 독점했고, 그 후 20년 동안 중앙아시아 무슬림 신도들과 함께 파당을 만들었다.[1] 그러나 아흐마드의 세금 체계는 중국인들로부터 나쁜 평판을 받았는데, 이는 무자비하게 운영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의 세금 체계와 너무 달랐기 때문이었다.[1] 그로 인해 아흐마드의 부하라 할 수 있는 징세 관료들의 평판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색목인(色目人) 전체에 대하여 한인들이 반감을 갖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1] 1271년 상서성이 중서성으로 흡수되었다.[1] 중서성의 수장이 되어 있을 때, 관행 관리를 개혁했다. 그러나 친킴 태자, 안통, 그 밖의 몽골과 중국 대신들과의 긴장감이 고조되었고,[1] 결국 1281년 그의 정치적 후원자였던 차브이가 사망하자 그에 대한 비난이 더욱 거세어졌으며, 결국 다음 해에 암살되었다. 그리고 그의 파당 역시 권력에서 밀려났다.[1]
2. 3. 권력 남용과 파벌 형성
쿠빌라이의 정궁황후인 차브이(察必)의 신임을 받아 재무 행정을 맡게 된 아흐마드는, 20여 년간 재무행정을 통괄하면서 자신의 아들이나 일족, 중앙아시아 출신의 이슬람교도들을 지방장관이나 지방징세관에 임명하여 파벌을 형성했다. 이로 인해 아흐마드의 권세는 매우 높아졌다.[1][2][3]그는 소금세의 권한을 독점하고 파당을 만들었다. 그러나 아흐마드의 세금 체계는 중국 전통의 세금 체계와 너무 달랐고 무자비하게 운영되었기 때문에 중국인들로부터 나쁜 평판을 받았다.[5] 이는 색목인(色目人) 전체에 대하여 한인들이 반감을 갖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1271년 상서성이 중서성으로 흡수되었을 때 관행 관리를 개혁했지만, 친킴 태자, 안통, 그 밖의 몽골과 중국 대신들과의 긴장감이 고조되었다.[4] 결국 1281년 그의 정치적 후원자였던 차브이가 사망하자 그에 대한 비난이 더욱 거세어졌고, 다음 해에 암살당했다. 그리고 그의 파당 역시 권력에서 밀려났다.[9][10]
2. 4. 몰락과 죽음
1281년 그의 정치적 후원자였던 차브이가 사망하자 그에 대한 비난이 더욱 거세졌다.[1] 결국 다음 해에 암살되었고, 그의 파당 역시 권력에서 밀려났다.[1]마르코 폴로는 그의 이름을 "바이로 악마트(Achmac)"라고 기록했다.[7] 그는 아흐마드가 25명의 아들을 두었고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고 언급했다.[8]
쿠빌라이 칸은 아흐마드의 부패에 대한 불만을 적들로부터 들은 후, 아흐마드의 시신을 묘에서 꺼내 개에게 먹이고 수레 바퀴로 뼈를 조각내는 등 능욕하도록 명령했다.[9][10] 또한 아흐마드의 아들들을 사형에 처하도록 명령했다.[11]
진금파와 아흐마드파의 대립이 격화되어, 1282년 진금의 여당에 의한 아흐마드 배척 음모로 아흐마드는 암살당했다. 그는 진금파의 왕저와 고화상 등의 책략으로 동궁으로 유인되어, 대동(大銅) 쇠망치로 타살되었다.
그 후, 쿠빌라이는 아흐마드 살해 혐의로 왕저와 고화상 등을 처형했다. 그러나, 아흐마드의 생전의 여러 전횡 행위로 인한 부정 행위가 속속 드러나자, 쿠빌라이는 "왕저와 고화상 등은 옳았다"고 말하며, 아흐마드의 일족을 탄핵했다. 게다가 쿠빌라이는 아흐마드의 묘를 파헤쳐 그 관을 부수고, 아흐마드의 시체를 갈기갈기 찢어 개에게 먹이고 대도의 통현문에 전시했다. 아흐마드의 일족도 실각되어 처형되었다.
3. 평가
아흐마드 파나카티는 사후에 생전의 부정행위로 인해 탄핵되었고, 무덤이 파헤쳐졌으며 일족도 권좌에서 쫓겨났다.[1] 그는 원나라 역사에서 간신으로 기록되어 《원사》의 '간신전'에 포함되었다.[1] 그러나 일칸국에서 편찬된 《집사》에서는 쿠빌라이를 보필한 명재상으로 높게 평가받았다.[1]
3. 1. 부정적 평가
아흐마드 파나카티에 대한 평가는 사료에 따라 크게 엇갈린다. 전통적인 중국 사료에서는 아흐마드를 부패와 폭정을 일삼은 악한 관료로 묘사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원나라의 공식 역사서인 《원사》에서 그를 '간신전'에 포함시킨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1]반면, 일칸국에서 편찬된 역사서 ''집사''는 쿠빌라이 칸의 행정부를 지원한 아흐마드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그를 명재상으로 묘사한다.[1] 최근의 몽골 연구에서도 원나라의 독특한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 아흐마드의 역할에 대해 긍정적인 언급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3. 2. 긍정적 평가
집사(일한국에서 편찬한 역사서로 몽골 제국의 발전을 기록한 역사서)에서는 쿠빌라이를 보필한 명재상으로 높게 평가했다.[1] ''집사''는 쿠빌라이의 행정부에 대한 그의 지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1] 최근의 몽골 연구 또한 왕조의 독특한 금융 시스템 구축에 대한 그의 역할에 긍정적인 언급을 하는 경향이 있다.[1] 후대의 사가(史家)에 있어서 간신이라는 평가는 그다지 보이지 않는다.[1]3. 3. 현대적 재평가
아흐마드는 전통적인 중국 기록에서 부패와 폭정을 일삼은 악한 관료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집사''는 쿠빌라이의 행정부에 대한 그의 지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최근의 몽골 연구 또한 왕조의 독특한 금융 시스템 구축에 대한 그의 역할에 긍정적인 언급을 하는 경향이 있다.4.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아흐마드 파나카티는 1980년대 RAI 미니시리즈 ''마르코 폴로''에서 레너드 니모이가 연기했으며, 넷플릭스 드라마 ''마르코 폴로'' 시즌 2에서는 마헤쉬 자두가 주요 악역으로 묘사했다. 그는 영향력 있는 인물로 그려지며, 자미 알타와리크에 더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Eurasian Influences on Yuan Chin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4-04-24
[2]
서적
Eurasian Influences on Yuan China
http://eprints.soa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4-04-24
[3]
서적
The Tea Road: China and Russia Meet Across the Steppe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14-04-24
[4]
서적
The book of Ser Marco Polo, the Venetian: Concerning the Kingdoms and Marvels of the East
[5]
서적
Chinese Money in Global Context: Historic Junctures Between 600 BCE and 2012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4-04-24
[6]
서적
The Silk Road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4-24
[7]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http://rbedrosian.co[...]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04-24
[8]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9]
서적
The Tea Road: China and Russia Meet Across the Steppe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14-04-24
[10]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4-04-24
[11]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https://www.academia[...]
Facts On File
2014-07-29
[12]
문서
『[[新元史]]』巻11, 世祖本紀5 至元十九年三月戊寅条による。
[13]
문서
[[マルコ・ポーロ]]の『[[東方見聞録|見聞録]]』よ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